2025/07 34

경기도 공공 서비스 '따복버스', 교통 소외 지역에 새로운 길을 열다

경기도는 대중교통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특별한 교통 복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 이름은 바로 ‘따복버스’다. ‘따복’은 ‘따뜻하고 복된’의 줄임말로, 이동이 불편한 도민에게 보다 따뜻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경기도의 의지를 담고 있다. 일반 시내버스와는 차별화된 이 서비스는 단순히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사람을 실어나르는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불균형을 해소하는 도구로 설계되었다. 경기도는 특히 농촌 지역, 고령화 지역, 교통망이 단절된 지역을 중심으로 따복버스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이 서비스의 도입 배경에는 여러 복합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첫째는 공공버스 회사들이 수익성을 이유로 외곽 지역 운행을 꺼려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고령 인구 비중이 높아지며, 도보 이동이 어려..

공공서비스 2025.07.02

서울시 공공 서비스 - 공공 와이파이 위치 확인법과 사용 팁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서울을 방문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고민을 한 번쯤은 해봤을 것이다. 요금제에 따라 데이터 제한이 있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통화, 지도 앱 등을 사용할 때 갑작스럽게 데이터를 초과해 요금이 부과된 경험도 많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는 시민 생활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표적인 공공서비스 중 하나다. 과거에는 카페나 식당에서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 주요 거리, 광장, 지하철역, 시내버스 등에서도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서울시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시민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20년 이후 ‘스마트서울 네트워크(S-Net)’ 사업을 추진하며 공공 와이파이..

공공서비스 2025.07.02

대전시 공공 서비스 - 중고 장터 플랫폼 우리동네마켓 이용 후기

대전시에서 거주 중인 시민으로서 다양한 중고 거래 플랫폼을 경험해 봤지만, 항상 아쉬운 점은 거래 상대에 대한 신뢰 부족과 지나친 상업성이었다. 전국 단위의 대형 플랫폼에서는 익명 계정으로 인한 사기 문제, 무리한 가격 흥정, 타지역 사용자와의 거리 문제 등 불편함이 상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가 운영하는 공공서비스인 공공형 중고장터 ‘우리동네마켓’이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겼다.우리동네마켓은 단순한 거래 플랫폼을 넘어 지역 주민 간 신뢰를 기반으로 물건을 나누는 공공서비스라는 점에서 기존 중고 거래 시장과는 뚜렷한 차별성이 있었다. 특히 대전시민만 가입할 수 있고 실명 및 주소 인증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폐쇄형 커뮤니티의 안전성과 공공성이 잘 결합된 구조라고 판단됐다.이..

공공서비스 2025.07.01

지역별 공공 서비스 알아보기 - 공공 마을버스 예약 시스템 통합 사용법

최근 몇 년 사이 전국 지자체들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라 대중교통의 수익성 문제를 고민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공서비스의 일환인 ‘수요응답형 마을버스’ 즉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 서비스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특히 농어촌이나 산간 지역에서는 버스 배차 간격이 너무 길거나, 아예 노선이 없는 경우가 많아 주민들이 생활 속 불편을 지속적으로 겪어왔다. 이런 배경 속에서 지자체들은 마을버스를 ‘예약제’로 전환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의 발을 책임지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도입하기 시작했다.이제는 단순히 정해진 시간에 다니는 버스가 아니라, 앱이나 전화,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호출하면 원하는 시간에 운행되는 방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마다 시..

공공서비스 2025.07.01